Explore
Also Available in:

젊은 창조에 대한 '별 증인'

젊은 우주를 가리키는 청색별과 중성자별들

저자:
번역자: 한국창조과학회 (creation.kr)

stars

과학(science)은 현재 관찰 가능한 것만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우주의 나이를 증명하는 데에 과학을 사용할 수 없다. 우리는 현재 모든 사물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을 연대 측정을 위한 '시계'로 사용하려면, 어떤 역사를 가정해야만 한다. 어떤 역사는 우리가 어디서 왔는지에 대한 우리의 믿음에 따라 다르다. 성경은 '과학'이 우리에게 말해줄 수 없는, 질서와 시간 틀과 목격자에 대한 기록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래된 우주 나이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훨씬 젊은 나이를 가리키는 많은 '시계'들을 설명하지 못한다. 여기에 두 가지가 있다.1

은하의 청색별들

청색별(blue stars)은 모든 '주 계열' 항성들 중에서 가장 크고, 가장 밝다. 그러나 이것은 청색별들이 핵연료를 매우 빨리 태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그것들은 너무나 빨리 타오르기 때문에, 가장 큰 것들은 1백만 년 이상의 나이를 가질 수 없고, 가장 작은 것들도 1천만 년 이상 지속될 수 없다. 그러나 우리 은하를 포함하여 나선은하들에는 청색별들이 풍부하다. 이것은 이 은하들이 1백만 년의 나이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은하들이 수십억 년의 나이를 갖고 있다는 믿음 체계에서 이것은 문제가 되고 있지만, 청색별은 은하의 나머지 부분보다 최근에 형성되었다고 가정한다면 그 문제는 '풀린다'. 그러나 아무도 그러한 별이 형성되는 것을 관측하지 못했고, 그것이 일어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메커니즘 조차 없다.2

구상성단의 중성자별들

구상성단(globular clusters)은 한 은하의 중심을 공전하고 있는, 작은 공 모양의 뭉쳐져 있는 별들의 집단이다. 그들은 아마도 '매우 오래된' 별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세속적 빅뱅 이론은 구상성단들을 설명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3 천문학자들은 구상성단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많은 중성자별(fast-moving neutron stars)들을 관측해왔다. 이것들은 성단 내의 초신성(supernovas)의 폭발에 의해서 발생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때 매우 빠른 속도로 '쫓겨나는' 중성자별들이 만들어진다. 구상성단의 작은 크기와 중성자별들의 빠른 속도를 고려할 때, 모든 중성자별들은 2백만 년 내에 발사됐어야 한다. 그리고 많은 구상성단들에서 중성자별은 발견되지 않아야 한다. 소위 (중성자별의) '보유 문제(retention problem)'로 불려지는 이 문제에 대한 한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오래된 미스터리'라고 부르고 있었다.4 이러한 관측 역시 우주의 젊은 나이와 일치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및 메모

  1. 101 evidences for recent creation are provided in the article(한국어 버전) at creation.com/나이. 텍스트로돌아 가기.
  2. Lisle, J., Blue stars confirm recent creation, Acts & Facts 41(9):16, 2012; icr.org/article/blue-stars-confirm-recent-creation. 텍스트로돌아 가기.
  3. Hubble observations cast further doubt on how globular clusters formed; astronomy.com/news/2014/11/hubble-observations-cast-further-doubt-on-how-globular-clusters-formed, 20 November 2014. 텍스트로돌아 가기.
  4. Pfahl, E., Rappaport, S., and Podsiadlowski, P., A comprehensive study of neutron star retention in globular clusters, Astrophysical Journal 573:283–305, 2002; | doi:10.1086/340494; iopscience.iop.org/article/10.1086/340494. Thanks to Paul Nethercott for alerting us to this ‘clock’. 텍스트로돌아 가기.